





 
 
“추가접종 간격 단축은 고위험군을 
보호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”
최근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방역수칙 완화로 
 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전파위험이 높아졌습니다.
또한,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시간이 
경과하면서 
 백신의 예방효과가 감소하고, 
돌파감염이 발생할 가능성도 증가했습니다.
특히,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과 
고령층을 중심으로 
 돌파감염이 확산되고 있습LI다.
추가접종 간격을 
6개월에서 4개월 또는 5개월로 단축한 것은 
 고령층 및 고위험군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
조치입니다.
• 접종간격 4개월 
① 60세 이상 고령층
② 감염취약시설 입소·종사자
③ 18~59세 기저질환자 등 
• 접종간격 5개월 
① 50대 연령층
② 우선접종 직업군(경찰, 군인, 항공승무원 등)
• 접종간격 
2개월
① 면역저하자
② 얀센백신 접종자
“추가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률은 
2차접종 후와 비슷한 정도”
미국 국립보건원에서는 
2차접종과 3차접종(추가접종)의 간격을 12주로 하였을 때, 
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차이가 없다고 발표했습니다.
국내에서도 면역저하자와 얀센백신 접종자 
등 
2개월 간격으로 추가접종을 받은 분들을 살펴본 결과, 
이상반응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이 외에도 헝가리와 벨기에, 이스라엘 
등에서 
 각각 4개월과 5개월 간격으로 추가접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
 우리나라의 추가접종 간격 단축이 
 예외적인 상황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.
“해외 사례를 통해 추가접종의 
단기적인 예방효과는 입증돼”
전 세계적으로 추가접종이 
 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
 장기간의 예방효과를 뒷받침할 자료는 아직 없는 상황입LI다.
그러나 이스라엘의 연구 결과, 
추가접종 후 12일이 경과된 시점을 기준으로 
 기본접종을 한 사람과 비교해, 
추가접종자의 확진율은 11배, 중증화율은 약 20배 감소한다*는 
 단기적인 효과는 입증되었습니다. 
* 출처 : Pretection of BNT162b2 vaccine booster against covid-19 in Israel(NEJM, 2021)
최근 코로나19 고위험군인 요양병원 등 
 감염취약시설과 60세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
 돌파감염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
한편, 올해 초 예방접종을 받으신 
 의료기관 종사자와 우선접종 직업군 등은 
 백신의 예방효과가 감소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추가접종 대상자분들은 자신의 차례가 되었을 때, 
본인의 건강을 위해 추가접종을 
반드시 받아주시길 바랍니다.
_최은화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위원장 (대한소아감염학회 회장, 서울대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
교수)
“코로나19 감염 및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추가접종에 적극 동참해 주시기 바랍니다.”
[출처] 대한민국 
정책브리핑(www.korea.kr)